
AI 기반 배리어 프리 기술로 디지털 정보 격차 해소
사회적 약자의 정보 격차 해소를 위한 포용 기술 개발에 집중
멀틱스(대표 유승수)는 AI 기반 동작·음성 인식, 자연어 처리 등 의사소통 기술을 활용해 사회적 약자를 위한 배리어 프리(Barrier Free) 솔루션을 개발하여 서비스하는 기업이다.
멀틱스는 2011년 창립 이후 청각·시각장애인 및 고령층 등 정보 취약 계층을 위한 기술 개발을 지속해왔다. 2018년 ‘한국수어 번역 솔루션’을 시작으로 ‘배리어 프리 민원 안내 서비스(2020)’, ‘배리어 프리 민원 처리 서비스(2021)’를 차례로 개발하며 정보 접근성 격차 해소를 위한 기술적 기반을 마련해왔다. 2022년부터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서비스’, ‘고령층을 위한 디지털 역량 강화 교육 콘텐츠’ 등을 포함한 배리어 프리 서비스 플랫폼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유 대표는 “멀틱스가 개발한 배리어 프리 서비스 플랫폼은 한국어(문자), 음성, 한국 수어, 외국어 등 다양한 의사소통 수단을 지원한다”며,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디지털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설명했다.
기존 배리어 프리 기술과의 차별점은 양방향 수어 인식 및 번역 기술이다. 유 대표는 “기존의 단방향 한국어-수어 변환 기술은 한국어 정보를 단순히 수어 영상으로 제공하는 형태였으나, 멀틱스는 청각장애인의 수어 동작을 인식하여 이를 수어 영상으로 변환하는 양방향 통역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또한, 멀틱스는 공공시설 및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실증을 거친 배리어 프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전시청, 구청, 지하철 역사, 복지관 및 장애인 관련 기관 등에서 재난 상황 알림, 식품 정보 수어 번역 등 다양한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이를 통해 사회적 약자가 실생활에서 필수적인 정보를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배리어 프리 서비스 시장은 공공과 민간 영역 모두에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정부는 사회적 약자의 정보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해「지능정보화 기본법 시행령」을 개정하여 키오스크 및 디지털 기기의 접근성 강화를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웹·앱·키오스크 등 디지털 정보기기의 접근성을 확보하기 위한 지침을 마련했다.
출처 : 한국경제
관련기사 : 네이트뉴스, 씬디스, 제로투원미디어
AI 기반 배리어 프리 기술로 디지털 정보 격차 해소
사회적 약자의 정보 격차 해소를 위한 포용 기술 개발에 집중
멀틱스(대표 유승수)는 AI 기반 동작·음성 인식, 자연어 처리 등 의사소통 기술을 활용해 사회적 약자를 위한 배리어 프리(Barrier Free) 솔루션을 개발하여 서비스하는 기업이다.
멀틱스는 2011년 창립 이후 청각·시각장애인 및 고령층 등 정보 취약 계층을 위한 기술 개발을 지속해왔다. 2018년 ‘한국수어 번역 솔루션’을 시작으로 ‘배리어 프리 민원 안내 서비스(2020)’, ‘배리어 프리 민원 처리 서비스(2021)’를 차례로 개발하며 정보 접근성 격차 해소를 위한 기술적 기반을 마련해왔다. 2022년부터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서비스’, ‘고령층을 위한 디지털 역량 강화 교육 콘텐츠’ 등을 포함한 배리어 프리 서비스 플랫폼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유 대표는 “멀틱스가 개발한 배리어 프리 서비스 플랫폼은 한국어(문자), 음성, 한국 수어, 외국어 등 다양한 의사소통 수단을 지원한다”며,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디지털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설명했다.
기존 배리어 프리 기술과의 차별점은 양방향 수어 인식 및 번역 기술이다. 유 대표는 “기존의 단방향 한국어-수어 변환 기술은 한국어 정보를 단순히 수어 영상으로 제공하는 형태였으나, 멀틱스는 청각장애인의 수어 동작을 인식하여 이를 수어 영상으로 변환하는 양방향 통역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또한, 멀틱스는 공공시설 및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실증을 거친 배리어 프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전시청, 구청, 지하철 역사, 복지관 및 장애인 관련 기관 등에서 재난 상황 알림, 식품 정보 수어 번역 등 다양한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이를 통해 사회적 약자가 실생활에서 필수적인 정보를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배리어 프리 서비스 시장은 공공과 민간 영역 모두에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정부는 사회적 약자의 정보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해「지능정보화 기본법 시행령」을 개정하여 키오스크 및 디지털 기기의 접근성 강화를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웹·앱·키오스크 등 디지털 정보기기의 접근성을 확보하기 위한 지침을 마련했다.
출처 : 한국경제
관련기사 : 네이트뉴스, 씬디스, 제로투원미디어